신사임당 님이 나와서 부자가 되고 싶은 분들에게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방송을 보고 정리한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신사임당의 첫 번째로 성공한 투자와 투자비율
실거주를 하려고 하니 거의 전재산이 들어가서 공부를 많이 했다고 합니다. 실거주를 하면서 많이 배우고 투자를 더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슈퍼마리오 식으로 가까워졌을 때 점프를 하는 슈퍼마리오 투자 방법을 신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산의 90%는 부동산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부동산과 현금을 6:4로 하려고 했는데 부동산이 많이 올라서 부동산의 비중이 90%가 되었다고 합니다.
만기도 남았는데 이사 간다고 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합니다. 하락장이 아니어도 2018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이런 일을 겪었습니다. 저축을 5년 한다 생각하면, 다른 소리 듣지 않고 스터디를 해서 5천만 원을 가지고 있을 때 그동안에 3천만 원짜리를 투자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아쉬운 투자를 하느니 더 모아서 좋은 투자를 하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내가 원하는 자산의 가격도 오를 수가 있으니까 그동안 마디를 나누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투자를 하기 전에 공부를 많이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 단지에 7개를 샀을 때 동, 향, 층을 사면서 깨달은 점은 누가 알려줬으면 그런 식의 투자는 하지 않았을 거라고 합니다. 값비싼 경험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잘 한 투자인줄 알았다고 합니다. 싼 투자로 배우려고 하면 생각보다 기회비용이 너무 크다고 합니다. 천만 원을 들인다고 해도 배울 수 있다면 돈 주고 배우는 게 더 좋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돈이 없기 때문에 안 좋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싸면서 좋은 것을 찾으려면 스터디가 필요합니다. 싸면지 안 좋은 것은 기회가 많습니다. 하지만 싸면서 좋은 것은 내가 찾아야 합니다. 심지어 부동산 주인에게 물어봐야 하는 상황도 생깁니다. 이거에 대해 공부가 많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돈을 모으는 것은 작은 돈부터 투자로 속도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초반에 잘 모를때는 저축이 나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더 좋은 것을 발견했을 때 좋지 않은 물건에 돈이 들어가 있으면 아쉬운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계획했던 대로 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유념하면서 꾸준히 돈을 모으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내가 갖은 돈이 갭투자로도 안 되면 공부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때 부모님 찬스 등을 쓰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갭 투자의 경우 역전세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하나라도 역전세가 나면 전체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갭으로 여유 있게 살 수 있는 단계가 될 때까지 돈을 모으면서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돈을 늘리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버는 돈을 늘리기
2. 번 돈을 불리기
이직을 하기에는 능력이 없고 퇴사를 하기에는 용기가 없어서 N잡을 시작 했다고 합니다. 능력이 있다면 지금 직장보다 좋은 직장으로 이직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생활이 여유가 있어야 N잡이 가능합니다. 기준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만큼은 돼야 합니다. 좋은 직장일수록 워라벨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을 좀 더 여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재테크만 할 경우 가격이 떨어지면 어려운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 본업에 충실해야 경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현금흐름이 좋아져야 더 살 수 있기 때문에 N잡을 통해 돈을 벌고 투자도 같이 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직장을 옮기면 세상도 달라 보입니다.
현재 소득을 2배로 늘리는 현실적인 방법
신사임당님은 현재 소득을 늘리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추천했습니다.
1단계. 문제,목표 인지
2단계. 현황파악
나는 지금 여기 있구나, 시간은 얼마나 낼 수 있고, 자본금과 자산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3단계. 문제 분석
4단계. A/B/C안
같은 문제에 대해 대응 안을 3가지로 준비합니다.
5단계. A/B/C안에 의한 예상되는 부작용
6단계. 부작용의 최소화 방안
7단계. 각 방안별로 기대되는 효과
A안의 이익/B안의 이익/C안의 이익
8단계. 각 단계에 따른 비용
9단계. 실패하는 경우 얻게 되는 교훈
10단계. 비용과 이익을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대응책 도출
프로세스별로 투입과 수정을 반복합니다.
이 단계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빨리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 단계가 없으면 왜 하는지 목표도 모르고 뭐가 잘못되었는지 몰라서 수정하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 단계가 성공적이면 여기에 더 투입하면 됩니다. 이 튜브가 완성되면 그때부터는 노력 싸움입니다. 이 튜브에 노력한 만큼 성과가 나오게 됩니다. 더 이상 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 튜브를 바꿔주면 됩니다.
댓글